SOPT

📍 HTTP 메소드에서의 멱등성 🍀 한 줄 요약: 요청(Request)을 한 번을 호출하든 여러 번을 호출하든 그 결과가 같음을 의미, 🍀 여러 번 동일한 요청을 보냈을 때, 서버에 미치는 의도된 영향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요청을 한번 보내는 것과 여러번 연속으로 보내는 것이 같은 효과를 가지고, 서버의 상태도 동일하게 남을 때 해당 HTTP 메서드가 멱등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. (응답 상태 코드가 아닌 서버의 상태와 관련이 된다!) HTTP 스펙에 따르면, GET, PUT, DELETE 메소드는 멱등성을 보장해야한다고 나와있다고 한다. 한 번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. 1️⃣ GET 메소드 : 서버에 존재하는 리소스를 단순히 읽어오기만 하는 메소드이기 때문에 당연히 여러번 수행되어도 결과값은 변하지..
📍 this와 this() 키워드 🍀 한 줄 요약 : this는 인스턴스 자신을 가르키는 참조 변수이고 this()는 생성자를 뜻한다. 세미나에서 다뤘던 아래의 예시를 살펴보면, Person 생성자에서 인스턴스 변수 값을 세팅하기위해 this.name = name가 같이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. public class Person { private String name; private int age; private String sex; public void walk() { System.out.println("사람이 걷습니다."); } public Person(String name, int age, String sex) { this.name = name; this.age = age; this.sex = ..
주디(Junior developer)
'SOPT' 태그의 글 목록